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006;8(4):241-247.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06.
A New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Ischemic Brain Lesion Using a Personal Computer and a Flatbed Scanner.
Kim, Tae Yeon , Lee, Hyung Jin , Yi, Jin Seok , Yang, Ji Ho , Lee, Il W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Daej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jeon, Korea. yangjiho@catholic.ac.kr
Abstract
OBJECTIVE
Quantification of infarct size has been frequently used as an useful index to assess the focal cerebral ischemia models and therapeutic strategies. Currently-used image analysis systems require dedicated and expensive equipment to carry out this task. The planimeter method is time-consuming and complex.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low-cost and simple method to perform the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using flatbed color scanner and a commercial image processing software (Adobe Photoshop 6.0). The second purpose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the new method. METHODS: Fifty-nine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sacrificed 24 hours following the focal cerebral ischemia. Hematoxylin-Eosin stain was used as a conventional staining method to differentiate ischemic damage from healthy brain tissue. Digital images were captured from the stained coronal sections using a flatbed color scanner and analyzed with a commercial image processing softwar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new method, the data obtained from the new procedure was correlated with those from a dedicated standard image analysis system and planimeter metho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interobservo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stimated. The correlation in the outcome of infarct size measurements between two different examiners and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evaluat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In each examiners, the data from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Freedman ANOVA. In each methods, the data from two different examiners were compar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rom the data taken by the two examiners,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in the outcome of infarct size measurement anong the new method, standard system method and planimeter method (P=0.0001).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infarct size measurement among the three different methods in the results of examiner 1 and 2 (Freedman ANOVA, P>0.05). 3. A high agreement was obtained in measurement of the infarct size between two different examiners with the same source of samples. Using the Photoshop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91 (P=0.0001). 4. In each metho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infarct size measurement between two different examiners. Using the Photoshop method, results from examiner 1 and 2 were 27.33+/-4.18 mm2 and 27.35+/-4.14 mm2 respectively.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y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P=0.95). CONCLUSION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ischemic lesion of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can be accurately and reproducibly quantified using this method. The low-cost and simplicity may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in measurement of ischemic brain damage.
Key Words: Infarct size, Image analysis, Flatbed scanner, Image processing software

서     론


  
뇌경색 면적의 측정은 허혈성 신경조직손상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초점 성 뇌 허혈모델을 평가1)8)13)하거나 항 허혈성 치료약제의 효능을 판단하는 지표9)14)15)로 사용되고 있다. 
   뇌경색 범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경색된 조직을 절취하여 무게를 직접 측정5)하거나, 경색된 뇌피질 부분에서 외삽법(extrapolation)을 이용하여 계산2)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또한 뇌경색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한 개의 대표적인 관상 평면을 기준으로 각각을 비교 측정하는 단일 평면 측정방법1)과 뇌정위적 기준에 의하여 결정된 8개의 뇌 관상절편에 해당하는 절편상의 뇌경색 범위를 zoom stereomicroscope를 사용하여 실제 크기보다 4배정도 확대되도록 백지에 옮겨 그린 후 대뇌반구, 뇌 피질, 미상핵에서 뇌경색 면적을 각각 planimeter로 측정3)9)하 고, 8개 관상평면의 뇌정위적 기준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경색부의 면적 및 용적을 계산하는 다평면 측정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 중 무게 측정법, 외삽법과 단일 평면 측정법등은 측정치의 신뢰도가 낮아 최근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다평면 측정법의 경우는 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1990년대부터는 전용 화상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방법들4)12)이 소개되어 좀 더 빠르고 객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나, 상대적으로 고가장비에 의존해야 한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민감도(sensitivity)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저가의 평판스캐너와 영상편집 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6.0)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을 얻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며 빠르게 뇌경색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새로 개발된 방법으로 얻어진 수치의 신뢰도(reliability)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중대뇌동맥의 폐쇄 및 뇌 절편표본 제작 
   체중 250
~300 g의 건강한 수컷 Sprague-Dawley계 흰 쥐 59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안면 마스크를 통하여 1% halothane이 포함된 nitrous oxideoxygen(70%:30%) 혼합가스를 흡입시켜 마취시켰으며 수술중 자기호흡을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우측 대퇴동맥과 정맥에 각각 도관을 삽입하여 동맥압 측정과 채혈 및 약물투입의 경로로 이용하였으며, 체온은 Homeothermic 조절기(Homeothermic Blanket Control Unit, Harvard Apparatus, Kent, U.K.)로 정상 체온(37℃)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협골궁(zygomatic arch)과 측두근의 제거 없이 측두하 두개절제술(subtemporal craniectomy)을 시행하였다. 고배율 수술용 현미경(Konan, K-280, Japan) 하에서 좌측 중대뇌동맥 기시부를 완전히 노출시킨 후 후삭(olfactory tract)이 교차하는 곳에서 중대뇌동맥 기시부까지 쌍극미세소작기로 소작시켜 폐쇄하였다. 대퇴동맥내에 삽입한 폴리에틸렌 도관을 변환장치에 연결하여 polygraph(Model TE polygraph, Grass, U.S.A.)를 통해 동맥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으며, PaO2, PaC02 및 pH를 수술 전후로 측정(Corning 178 blood gas analyzer, Corning Medical, Modified, MA, U.S.A.)하고 혈색소치도 수술 전 후로 측정하였다. 
   중대뇌동맥 폐쇄 직후 마취를 중단하고 실험동물의 의식을 회복시켰으며, 동맥 폐쇄 24시간 후 마취 하에서 정맥내로 KCl l ml를 주사하여 실험동물을 폐사 시키고 즉시 두개골에서 뇌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뇌는 동결을 위한 배지용액(TISSUE- TER.. Miles Inc., Elkhart, U.S.A.)에 고정시켜 -25℃에서 냉동시킨 후 박절기(microtome)을 이용하여 20 μm의 두께로 약 150내지 200개의 관상절편(coronal section)을 작성하였고, Hematoxylin-Eosin(H-E)염색을 시행하여 뇌경색부위를 뚜렷하게 정상 뇌 조직 부위와 구별할 수 있게 하였다. 위에서 얻어진 관상절편들 중 Konig와 Klippel의 뇌 도보를 참조하여 뇌정위적 기준에 따라 결정된 8개의 뇌 관상절편에 해당하는 절편을 선택하였다.6) 

2. 뇌경색 범위의 측정 
   선택된 8개의 관상절편을 이용하여 다음 3가지 방법으로 뇌경색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zoom stereomicroscope(SZH-111, Olympus Optical C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관상절편의 뇌를 실제 크기보다 4배정도 확대되도록 백지에 옮겨 그린 후 대뇌반구, 뇌 피질, 미상핵에서 경색면적을 각각 planimeter(KP-21, Koizumi, Japan)로 측정하고, 8개 관상평면의 뇌정위적 기준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경색부의 면적 및 용적을 계산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절편표본에서 얻은 화상을 컴퓨터에서 캡춰하여 뇌경색 부위의 가장자리를 수동적으로 선택한 후 전문화된 화상 분석 장치(Image Analysis System BMI-PLUS, Bummi Universe, Ansan, Korea)를 이용하여 뇌경색 면적을 계산하였다.
   세 번째 방법은 저자가 고안한 방법으로서, 염색한 8개의 관상절편 표본 모두를 평판스캐너(Scanjet 4C, Hewlett-Packard, U.S.A.)에 올려놓고 절편표본을 스캔하기 위해 투명지 어댑터를 이용하여 스캔을 시행하였다. 스캐너는 IBM 호환기종에 연결되어 스캐너 제조회사에서 제공한 소프트웨어(Deskscan II version 2.4)에 의하여 조절하였다. 미리보기 스캔 후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의 크기를 재조정하고 이미지 유형은 1680만 컬러, 이미지 해상도는 600 dpi(dot per inch)로 정하였다(Fig. 1). 스캔된 이미지를 TIFF(Tagged-Image File Format) 형식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를 상업용 영상편집 소프트웨어인 Photoshop(Adobe Photoshop version 6.0, Adobe System Inc., U.S.A.)으로 열어 이미지의 밝기와 대조를 가능한 한 가장 높은 대조비가 되게 조정하고 뇌경색부위와 정상조직 간의 판독력을 높여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미지를 200%에서 300% 정도로 확대하였다. 수동적인 방법으로 경색된 부분의 가장자리를 패스툴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뇌경색 범위를 결정하고 패스 팔레트의 옵션 창을 열어 Make Selection 항을 눌러 선택영역으로 바꿔주었다(Fig. 2). 
   선택한 영역 내에 있는 픽셀의 양을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픽셀의 양을 100 mm2당 55696 픽셀로 환산하여 mm2 단위로 계산함으로써 뇌경색 면적의 실측치를 구하였다(Fig. 3). 

3. 검사방법의 비교분석 
   Sprague-Dawley계 휜 쥐 59마리에서 한 마리 당 8개씩의 관상절편이 얻어져 총 472개의 관상절편 중에서, 뇌경색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399개의 시료를 두 측정자가 planimeter 방법, Image Analyzer 방법 및 Photoshop 방법의 세 가지 측정법으로 뇌경색 범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399개의 시료의 면적치는 표본수가 매우 커서 모수 추정력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면적치의 비교에서는 오히려 위양성이나 위음성의 가능성이 커서 단순 무작위 추출에 의해 뽑은 59개의 면적치를 통계적 검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두 다른 측정자와 세 가지 다른 측정법으로 측정된 면적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데에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각 측정자의 경우 세 가지 측정법에 의한 면적의 비교는 면적이 비대칭분포를 하므로 비모수적인 방법인 Freedman 분산분석법(nonparametric Freedman ANOVA)으로 분석하였고, 각 측정법의 경우 두 측정자의 면적의 비교는 Wilcoxon의 부호 붙은 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의 분석은 분석프로그램인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허혈성 손상 부위는 모든 표본에서 좌측 중대뇌동맥의 분포 영역인 좌측 대뇌의 배외측부 피질과 신선상체(neostriatum)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세 가지 방법으로 두 측정자에 의하여 측정된 자료 중 임의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의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본 통계치를 구하였다(Table 1). 면적치의 분포 형태가 비대칭이고 계수치(counted value)인 점을 고려하여 면적치의 비교에는 비모수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1. 측정면적 사이의 관계 결정 
   세 가지 측정법에 의하여 구해진 면적은 각 측정자에서 매우 높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첫 번째 측정자에서 planimeter와 전문 화상 분석 장치(Image analyzer)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14(n=59, P=0.0001)이고, planimeter와 Photoshop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35(n=59, P=0.0001)이며, 전문 화상 분석 장치와 Photoshop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81(n=59, P=0.0001)이었다(Fig. 4). 
   두 번째 측정자에서도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여 planimeter와 전문 화상 분석 장치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44(n=59, P=0.0001)이고, planimeter와 Photoshop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49(n=59, P=0.0001)이며, 전문 화상 분석 장치와 Photoshop에 의한 면적측정치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r=0.981(n=59, P=0.0001)이었다(Fig. 5). 
   두 측정자에 의한 면적측정치는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이고 있었다. 두 측정자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observer reliability)는 planimeter의 경우 r=0.978(n=59, P=0.0001)이고, 전문 화상 분석 장치의 경우 r=0.987(n=59, P=0.0001)이며, Photoshop의 경우에 r=0.991(n=59, P=0.0001)이었다(Fig. 6). 

2. 면적측정값 분석(Table 1
   각각의 측정자에서 세 가지 방법을 비교한 경우, 제 1 측정자에서 planimeter, 전문 화상 분석 장치 및 Photoshop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평균면적은 각각 26.83±3.86 mm2, 27.42±4.13 mm2, 27.33±4.18 mm2로서 세 측정방법에 의한 면적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reedman ANOVA, P>0.05). 
   제2 측정자에서 planimeter, 전문 화상 분석 장치 및 Photoshop 방법에 의해 구해진 평균면적은 각각 26.97±4.02 mm2, 27.31±4.06 mm2, 27.35±4.14 mm2로서 세 측정방법에 의한 면적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reedman ANOVA, P=0.80). 
   또한 세 가지 방법에서 얻은 결과를 두 측정자간 비교한 결과 두 측정자에 의한 평균면적은 거의 일치하는 측정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planimeter의 경우 첫째 측정자와 둘째 측정자에 의해 얻어진 면적은 각각 26.83±3.86 mm2와 26.97±4.02 mm2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Wilcoxon signedranks test, P=0.22), 전문 화상 분석 장치의 경우 첫째 측정자와 둘째 측정자에 의해 얻어진 면적은 각각 27.42±4.13 mm2와 27.31±4.06 mm2로서 두 측정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Wilcoxon signed-ranks test, P=0.27), Photoshop의 경우 첫 째 측정자와 둘째 측정자에 의한 면적은 각각 27.33±4.18 mm2와 27.35±4.14 mm2로서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Wilcoxon signed-ranks test, P=0.95). 

고     찰 

   영상분석 장치들의 효용성 평가에는 재생산성(reproducibility)과 민감도(sensitivity) 뿐만 아니라 실용성(practicability)과 가격대 성능비(cost-effectiveness)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8) 저자에 의하여 새로 고안된 방법에서 뇌경색 범위의 측정을 위한 장비는 비교적 손쉽게 저가로 구입할 수 있는 장비들로서 다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장비는 최소 16 Mb RAM이 장착된 486이상의 IBM 호환 기종의 컴퓨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칼라 스캐너 및 널리 사용되는 상업화된 영상처리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 version 6.0(Adobe Systems Inc., U.S.A.)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험에서 사용한 HP 스캐너(HP Scanjet 4C, Hewlett-Packard, U.S.A.)의 경우 24 비트 칼라(RGB)에서 600 dpi의 해상도로 뇌 관상절편표본에서 천연색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슈퍼 VGA 모니터가 주로 사용하는 8 비트 칼라 심도의 해상도를 훨씬 넘는 것으로 스캔된 뇌 관상절편표본에서 구조적 특징을 충분히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4) 또한 400 dpi의 광학해상도는 50 mm 렌즈를 가지고 있는 비디오카메라의 광학해상도와 동일한 정도인 약 200 μm를 나타낸다.4) 본 실험에서 사용한 600 dpi는 이를 능가하는 해상도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영상 분석 장치들은 대부분 영상을 얻는 입력장치 부분, 얻은 영상에서 면적을 측정하는 영상분석 부분 및 얻어진 자료를 출력하는 부분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입력장치 부분과 영상분석 부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시스템들이 구축될 수 있다. 입력장치의 경우 어떤 시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현미경 혹은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영상분석의 경우에도 planimeter라는 단순한 측정기구 에서부터 컴퓨터에 기반을 두고 특별히 제작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에서 면적을 측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본 실험에서 저자의 Photoshop 방법과 비교되었던 planimeter 방법은 광학현미경과 planimeter로 구성된 면적 측정방법으로 4배정도로 확대되는 zoom steromicroscope 상에 보이는 뇌경색부위를 손으로 백지위에 옮겨 그린 후 planimeter를 이용하여 그려진 경색부 주변의 궤적을 따라 선을 연결함으로써 면적수치를 얻는 방법으로 8개의 뇌 관상 절편표본의 면적을 계산해내기 위해서는 숙달된 측정자의 경우도 30분 이상이 소요되는 수작업이 반복되고, 수작업 중에 실수가 일어나면 처음 과정부터 다시 반복해야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비교적 크게 확대된 시료에서 면적을 측정하게 됨으로 측정자간의 오차가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실험에서 새로이 시도된 방법의 경우 8개의 뇌 관상절편표본을 스캐너로 한 번에 영상을 얻어 수동적인 방법으로 면적을 선택하여 수치를 얻는데 10분정도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아 planimeter 방법과 비교하여 매우 뛰어난 시간적인 효율성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비교되었던 전문화된 화상 분석 장치의 경우는 광학현미경, 평판스캐너 및 비디오카메라 등 여러 가지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시료에 대하여 화상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시스템 구성을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와 전문화된 화상분석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실험에서 개발된 측정법에서 영상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던 Adobe Photoshop은 저가의 프로그램이지만 18가지 이상의 그림형식으로 저장이 가능하여, 우리가 흔히 슬라이드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파워포인트(Microsoft Co.)와 같은 일반화된 응용프로그램과 영상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문화된 화상분석 프로그램은 단지 두, 세 개 정도의 그림형식 만을 지원하여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가장 최근에는 면적부위의 수동적 측정에 따른 측정자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반자동화 면적 측정법12)과 완전 자동화 면적 측정법4) 등이 개발되어 발표된 바 있다. 이 방법들은 미리 설정된 광학 심도의 가역치에 따라 측정 부위의 면적 등을 자동적으로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화 영상분석 시스템의 장점은 영상 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으며, 서로 다른 측정자 사이의 변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데 있다. 그러나 자동화 방법은 조직학적 염색과정에 관계된 변수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동 영상 분석 장치에 비해 뇌경색 면적측정 수치가 크게 나오는 단점이 있고 염색이 제대로 되지 않은 시료에서는 정상조직과 뇌경색조직 사이에 구별이 어려워 수동적 측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조직의 염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색되므로 자동화 방법의 민감도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염색 후 수일 이내에 분석을 마쳐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초점성 뇌경색 모델에서 얻어진 조직의 일부가 고정 및 염색과정 중 분리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는데 자동화 방법에서는 이를 보상하지 못함으로 뇌경색 면적이 실제보다 작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자동화 방법에 의한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균일한 염색 등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 숙련된 기술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H-E염색표본에서는 경색된 조직은 흰색이나 엷은 분홍색으로 나타남으로써 평판스캐너로 정상조직과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뇌경색 범위 측정에의 H-E염색법 사용은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그 신뢰도가 증명된 바 있다.1)7)10)11) 그러나 뇌경색 중심 주변부에서 뇌경색 범위를 정확히 구분할 수 없는 경우를 흔히 경험하게 되는데 자동화 방법이나 반자동화 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아직까지 해결할 수 없다. 저자의 측정법은 여러 개의 시료를 단시간에 영상 처리할 수 있는 반면 뇌경색 범위를 수동으로 구분함으로써 자동화 방법의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였다고 하겠다. 
   현재 영상의 입력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나 광학 현미경은 세포학적 수준의 아주 작은 시료를 분석하는데 적당한 반면 본 실험에서 입력장치로 사용된 스캐너의 경우는 초점성 뇌경색과 같이 큰 시료를 분석하는데 적절하다. 따라서 저자가 새로 개발한, 평판 스캐너와 Photoshop을 이용한 뇌경색 면적 측정법은 기존에 뇌경색 면적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Planimeter 이용 측정법 및 전문 화상 분석 장치 측정법과 비교하여 측정된 면적 치 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서로 다른 측정자 간의 측정치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는 등 새로운 측정법으로서의 신뢰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상에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촬영 등에서 특정부위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 면적을 구하는데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     론 

   저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저가의 평판스캐너와 상업화 된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며 빠르게 뇌경색의 면적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새로운 면적 측정법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측정치에서 차이가 없고, 서로 다른 측정자간의 면적 측정치도 거의 일치하여 그 신뢰성이 매우 높은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기존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촬영 등에서 특정부위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 면적을 구하는 데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Bederson JB, Pitts LH, Tsuji M, Nishimura MC, Davis RL, Bartkowski HM. Ra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evaluation of the model and development of neurologic examination. Stroke 17:472-6, 1986 

  2. Coyle P, Odenheimer DJ, Sing CF. Cerebral infarction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n progenies of spontaneously stroke-prone and normal rats. Stroke 15:711-6, 1984 

  3. Duverger D and MacKenzie ET. The quantification of cerebral infarction following focal ischemia in the rat: influence of strain, arterial pressur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age. J Cereb Blood Flow and Metab 8:449-61, 1988 

  4. Goldlust EJ, Paczynski RP, He YY, Hsu CY, Goldberg MP. Automated measurement of infarct size with scanned images of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stained rat brains. Stroke 27:1657-62, 1996 

  5. Hoff JT, Nishimura M, Newfield P. Pentobarbital protection from cerebral infarction without suppression of edema. Stroke 13:623-8, 1982 

  6. Konig JFR, Klippel RA. The Rat Brain: a Stereotaxic Atlas of the Forebrain and Lower Parts of the Brain Stem. New York: Krieger, 1963 

  7. Lin TN, He YY, Wu G, Khan M, Hsu CY. Effect of brain edema on infarct volume in a focal cerebral ischemia model in rats. Stroke 24:117-21, 1993 

  8. Osborne KA, Shigeno T, Balarsky AM,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early brain damage in a rat model of focal cerebral ischaem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0:402-10, 1987 

  9. Park CK, Nehls DG, Graham DI, Teasdale GM, McCulloch J. The glutamate antagonist MK-801 reduces focal ischemic brain damage in the rat. Ann Neurol 24:543-51, 1988 

  10. Park CK, McCulloch J, Kang JK, Choi CR. Pretreatment with a Competitive NMDA Antagonist D-CPPene Attenuates Focal Cerebral Infarction and Brain Swelling in awake rats. Acta Neruochir 127:220-6, 1994 

  11. Smith SE and Meldrum BS. Cerebroprotective effect of lamotrigine after focal ischemia in rats. Stroke 26:117-22, 1995 

  12. Swanson RA, Morton MT, Tsao-Wu G, Savalos RA, Davidson C, Sharp FR. A semiautomated method for measuring brain infarct volume. J Cereb Blood Flow Metab 10:290-3, 1990 

  13. Tamura A, Graham DI, McCulloch J, Teasdale GM. Focal cerebral ischaemia in the rat: 1. Description of technique and early neuropathological consequences follow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J Cereb Blood Flow Metab 1:53-60, 1981 

  14. Wiard RP, Dickerson MC, Beek O, Norton R, Cooper BR. Neuroprotective properties of the novel antiepileptic larnotrigine in a gerbil model of global cerebral ischemia. Stroke 26:466-72, 1995 

  15. Yang Y. Shuaib A, Li Q, Miyashita H. Howlett W. Effect of lamotrigine on extracellular level of glutamate and analine in reversible focal ischemia model of rats. Can J Neuro Sci 24(Suppl.):S50, 1997

TOOLS
METRICS Graph View
  • 789 View
  • 0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The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JCEN), Department of Neuro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spital, 895, Muwang-ro, Iksan-si, Jeollabuk-do 54538, Korea
Tel: +82-2-2279-9560    Fax: +82-2-2279-9561    E-mail: editor.jcen@the-jcen.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erebrovascular Surgeons and 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