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erebrovascular Surgery 2009;11(2):85-87.
Published online June 1, 2009.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of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s: Report on 2 cases.
Kim, Kyoung Hun , Yeo, In Seong , Yi, Jin Seok , Yang, Ji Ho , Lee, Il W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Daejeon St. Mary 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jeon, Korea. medicy@nate.com
Abstract
Aneurysms arising from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are uncommon, with a reported incidence ranging between 0.5 and 2% of all the aneurysms in the brain. Most of them arise at the PICA origin from the vertebral artery, whereas distal PICA aneurysms are exceptional. We have experienced two consecutive cases of distal PICA aneurysms. Both patients were female and the first patient was 48 years old and the second patient was 60 years old. Cerebral angiography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admission and it showed an aneurysm located on the distal PICA. One patient was treated by a combined endovascular and surgical approach, and the other patient was treated by a surgical approach only. The former patient expired 8 days from the ictus. The latter patient had a good outcome during admission. Distal PICA aneurysms are exceptionally rare and they may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ical or endovascular techniques. The therapeutic strategy, either surgical or endovascular,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arterial and aneurysmal morphology.
Key Words: Intracranial aneurysm,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 surgery, Endovascular treatment
 


서 론

후하소뇌동맥류는 전체 뇌동맥류의 0.5~2%의 빈도로 발생하는 드문 동맥류이다.1)2)4)6) 후하소뇌동맥류는 척추동맥으로부터 기시하는 근위부의 동맥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는 전체 후하소뇌동맥류의 0.3% 로 추정되

고 있다.9)10) 저자들은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 환자 2례의 치료경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증 례

증례 1

48세 여자 환자가 타 병원 응급실에서 전원되었다. 타 병원 방문 시 생애 처음 겪는 극심한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당

시 신경학적 검사 상 의식수준은 기면 상태였다. 응급 뇌 컴퓨터 단층촬영 도중 호흡마비가 발생하여 응급실로 옮겨 심폐소

생술 10분 후 심장 기능이 회복되었고, 다시 시행한 뇌 컴퓨터 단층촬영 상 수두증은 없었으며, 기저수조에 뇌 지주막하

출혈과 제4뇌실에 출혈이 발견되어 본원 응급실로 전원 되었다(Fig. 1A). 본원 응급실 내원 당시 신경학적 검사에서

Hunt-Hess Grade V 였고 Glasgow Coma Scale이 4점이었다. 양측 동공은 3mm로 대광반사는 정상이었고 뇌간반사

도 정상이었다. 사지 운동능력은 Grade II로 저하되어 있었다. 뇌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 조영술상 동맥류가 보이지 않았

고, 응급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뇌혈관 조영술상 좌측 후하소뇌동맥의 뇌피질 분절에서 동맥류가 발견되었다(Fig.

1B). 뇌혈관 조영술로 진단 후 코일 색전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분지부위에서 혈관 선택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결국 도관 내경이 코일용 도관 보다 작은 Glue 색전술을 시행하였다(Fig. 1C). 색전술 시행 도중 Glue가 동맥류낭 외부로

새어나가는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1D). 색전술 시행 직후 동공 확장 및 동공반사 소실되어 시행한 뇌 컴퓨터 단층촬영

상 심한 뇌부종 소견보여 응급 정중앙후두하접근법에 의해 동맥류 결찰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후 시행한 뇌 컴퓨터 단층촬영 상 수술 전보다 부종이 더욱 진행된 소견 보였으며 환자는 수술 후 8병일째 사망

하였다(Fig. 1E).


증례 2

60세 여자 환자가 Glasgow Coma Scale 8점의 혼미한 의식수준으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고 경부강직 소견을 보였

다. 신경학적 검사에서 Hunt-Hess Grade IV 였고 응급실에서 시행한 뇌 컴퓨터 단층촬영 상 소뇌 출혈과 제 4 뇌실에

주로 있는 뇌실 출혈 소견이 발견되었다(Fig. 2A). 응급 뇌혈관 조영술 시행하였고 뇌혈관 조영술상 좌측 원위부 후하소뇌

동맥의 뇌피질 분절 동맥류가 관찰되었다(Fig. 2B). 응급 정중앙후두하접근법에 의해 동맥류 결찰술 시행하였고 환자는

점차 회복하여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퇴원하였다. 퇴원 후 시행한 뇌혈관 조영술상 잔류 경부는 보이지 않았다(Fig. 2C).


고 찰

후하소뇌동맥은 모양과 주행에 있어 많은 변형이 있다. 척추동맥으로부터 기시하는 부위는 대후두공(foramen magnum)으로부터 척추-기저동맥 연접부까지 다양한데, 80~95%의 경우에서 두개강내 척추동맥에서 기시하며, 대후 두공으로부터 8.6mm 상방의 척추동맥 후측면에서 기시한다.6) 후하소뇌동맥은 연수와 소뇌와의 관계에 따라 5개의 분절과 2개의 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 의 분절별 발생율과 관련하여, Lewis 등이 보가한 148례에 따르면 외측연수(lateral medullary) 분절에서 18%, 편도연 수 (tonsillomedullary)에 서 10%, 조 직 장 막 연 수 (telovelotonsillar)의 경우 57%로 분포한다.6) 후하소뇌동맥 류는 전체 뇌동맥류의 0.5~2%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동맥류 이고, 대다수가 척추동맥에서 후하소뇌동맥이 기시하는 부위 근처에서 발생한다.3)7)9) 1894년 Fernet이 첫 원위부 후하소뇌 동맥류에 대해 보고한 이래로 267례 정도가 보고되고 있다.6) 따라서 본 증례는 매우 드문 례로써 의미가 있다 하겠다. 원위 부 후하소뇌동맥류 환자의 평균연령은 다른 부위의 동맥류 환자보다 전반적으로 어리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131례의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를 보고한 Dernbach 등에 의하면 남녀간의 발생빈도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연령은 44.7세 라고 보고 되었다.6)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는 다른 동맥류와 비교해서 뇌실 출혈과 이차성 뇌수두증의 발생빈도가 높다.5)8) 동맥류 파열 후

재출혈 가능성이 높고, 뇌간을 직접 압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망 및 이환율이 높고, 따라서 빠른 대처가 중요

하다. 동맥류의 위치에 따라 수술 방법이 다를 수 있다. 조직장막 연수(telovelotonsillar) 와 뇌피질(cortical) 분절인 경우 정

중앙후두하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고, 전방연수(anterior medullary), 외측연수(lateral medullary), 편도연수 (tonsillomedullary) 분절은 측방후두하접근법이 사용 가능하다.5) 본 증례 환자의 경우 2례에서 모두 뇌피질 분절에 동맥류가 위치하였고, 정중앙후두하접근법이 사용되었다. 원위부 후하소뇌동맥류 치료에 있어서 중재적 시술을 통한 치료는 많은 보고는 없다. Bradac and Bergui는 원위부 후 하소뇌동맥류 환자 6명의 코일 색전술에 의한 치료를 보고하 면서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5)

후하소뇌동맥류 파열의 급성기에 중재적 시술에 비해 개두 술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다. 지주막하 출혈을 일부 제거 할

수 있고 특히 뇌실 출혈이 많은 경우 뇌실외배액술 등의 추가 적인 수술은 환자의 상태를 좋아지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에 중재적 시술은 뇌간 근처와 뇌신경의 수술로 인한 손상을 피할 수 있어 수술 후 생길수 있는 여러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또한 최소침습적 치료라는 장점과 재원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5)

본 증례 1 에서 볼 수 있듯이, 중재적 시술 도중 혈관 선택 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저 없이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

는 것 또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결 론

후하소뇌동맥류는 매우 드문 동맥류이며 수술 또는 중재적 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 가능한 질환며, 동맥류의 위치와 중재

적 시술의 가능성에 따라 치료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야 된다.

중심 단어 : 두개내 동맥류, 후하소뇌동맥, 동맥류수술, 혈관내 수술.


REFERENCES

11) Eric SN, Alejandro M, Paul C, Leslie S. Surgical management of fusiform aneurysms of the peripher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Neurosurgery 53:831-5, 2003

12) Isokangas JM, Siniluoto T, Tikkakosski T, Kumpulainen T. Endovascular treatment of pheripheral aneurysms of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m J Neuroradiol 29:1783-8, 2008

13) Jovanovic VT, Rakic ML, Djurivuc BM, Tasic GM, Nikolic IM,Pisxevic IA et al. Distal post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 :

Case report. Acta Chir Iugosl 55(2) : 93-6, 2008

14) Kleinpeter G. Why are aneurysms of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so unique? Clinical experienc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inim Invas Neurosurg 47:93-101, 2004

15) Li XE, Wang YY, Jia DZ, Liu XH, Gao J, Li XG.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of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s : report on 5 cases. Surg Neurol 70(4):425-30, 2008

16) Lewis SB, Chang DJ, Peace DA, Lafrentz PJ, Day AL.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J Neurosurg :97(4):756-66, 2002

17) Marsushita Y, Kawabata S, Kamo M, Yamada M, Matsukawa M, Taniguchi H et al. Ruptured aneurysm at the cortical segment of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J Clin Neurosci 13(7):777- 81, 2006

18) Orakcioglu B, Schuknecht B, Otani N, Khan N, Imhof HG, Yonekawa Y.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s : Clinical characterisitics and surgical management. Acta Neurochir (Wien)147(11):1131-9, 2005

19) Park JS, Lee TH, Seo EK, Cho YJ. Aneurysms of dis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J Korean Neurosurg Soc.:44(4):205-10, 2008

10) Peluso JP, van Rooij WJ, Sluzewski M, Beute GN, Majoie CB.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s: incidenc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endovascular treatment. Am J Neuroradiol 29(1):86-90, 2008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The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JCEN), Department of Neuro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spital, 895, Muwang-ro, Iksan-si, Jeollabuk-do 54538, Korea
Tel: +82-2-2279-9560    Fax: +82-2-2279-9561    E-mail: editor.jcen@the-jcen.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erebrovascular Surgeons and 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